주식을 하다보면 "오늘은 어느 기관에서 얼마를 샀다." 라며 특정 종목에 관심을 둬라라는 말을 하는 들어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그만큼, 주식에서 기관의 영향력은 작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기관 중에서도 연기금 또는 사모펀드 등등의 이름을 들어보셨을텐데, 이외에도 여러 기관 투자자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기관 투자자별 종류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용어별로 짧게 정리하다보니깐 글의 호흡이 짧은 점 이해바랍니다.
1. 금융투자 투자자란? |
금융투자에 포함되는 기관은 증권사, 선물회사, 자산운용사, 투자자문사 등이 고유자산을 이용하여 매매할 때 '금융투자'로 구분합니다.
금융투자회사는 금융투자업무를 투자매매업, 투자중개업, 집합투자업, 투자일임업, 투자자문업, 신탁업의 6가지 업무로 구분하고, 금융투자업무 전부 또는 일부를 담당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431591&cid=58438&categoryId=58438
2. 보험 투자자란? |
말그대로 보험 회사가 되겠습니다. 우리가 보험을 가입하는 것중에는 펀드 또는 회사에 직접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수익금은 보험 회사 또는 그 돈의 주인에게 돌아가게 되는거겠죠.
보험사에 대한 리스트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namu.wiki/w/%EB%B3%B4%ED%97%98%ED%9A%8C%EC%82%AC
3. 투자신탁 투자자란? |
보통 주식앱에서는 '투신'이라는 용어로 나타냅니다. 이것은 투자신탁을 줄인 말이고,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펀드 자금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자산운용사들이 고객으로부터 자금을 받아서 펀드를 운용하면 투신으로 나타낸다고 하네요. 다만, 소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자금을 모집하는 비공개 펀드인 사모펀드는 따로 집계된다고 하네요.
4. 은행 투자자란? |
아주 간단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은행'이 맞습니다. 혹시나, 은행이 투자도 하냐고 생각하시는 분이 계실 수 있을텐데요.
은행에서 잘 찾아보시면 투자 관련 펀드를 진행하는 것도 있고, 보험 가입도 진행합니다.
사실, 투자 관련해서는 은행에 맡기는 것보다는 투자 전문 회사에 맡기는 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만, 은행이 더 수익률이 높을 수도 있으므로, 자유에 맡기겠습니다..
5. 기타금융 투자자란? |
사실, 기타금융에 대해서는 항상 궁금했는데요. 이번 기회에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기타금융 기관은 종합금융회사, 저축은행(신용금고), 기타법입 중 법적장 전문투자자인 금융기관을 뜻한다고 하네요.
자세하게 리스트하자면, 증권금융회사, 자금중개회사, 여신전문금융회사, 새마을금고연합회, 신협중앙회 등을 말한다고 하네요.
따라서, 1금융권 이외에 금융 기관을 뜻하는 것 같습니다.
6. 연기금이란? |
연기금은 많이들 들어보셨을겁니다. 그만큼, 영향력도 굉장한 투자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기금은 '연금'과 '기금'을 합친 말이라고 하네요.
연금은 특정 집단이 일하는 동안에 기여금을 내고, 나이가 들면 급여를 받는 사회보장 성격의 제도이고요. 다들 흔히들 아시는 그 '연금'이 맞습니다.
기금은 특정 공공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정부가 조성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결국에는 연금을 지급하기 위해서 만든 기금이 연기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워낙, 운용액이 크다보니, 몇퍼센트 수익이든 손해든 엄청나게 느껴질 수 있는 액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기사를 찾아보니, 2018년에는 국민연금 자산이 626조원에 달한다고 하네요.
하여튼, 이러한 엄청난 자산을 운용하려면 왠만한 강심장아니면 힘들겠네요. 물론, 자신의 돈이라고 생각안하고 투자한다면... 쩝... (저도 늙어서 낸 돈 돌려받고싶습니다.)
7. 사모펀드란? |
사모펀드는 말 그대로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서 주식이나, 채권 등에 운용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사모펀드는 크게 '일반 사모펀드'와 '사모투자전문회사'로 불리는 PEF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 사모펀드는 소수 투자자로부터 단순 투자 목적으로 자금을 모아서 운용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이것은 주식형 사모펀드의 대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하네요.
사모투자전문회사는 특정 기업의 주식을 대량으로 인수하여 경영에 참여하는 방식 또는 지분투자를 집행해서 기업 가치를 높여서 되파는 방법의 수익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영역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목적의 따라서 펀드가 다르다고 할 수 있겠네요. 우리가 흔히 아는 사모펀드는 첫번 째인 일반 사모펀드를 말합니다.
8. 기타법인 및 기타외국인이란? |
기타법인 및 기타외국인도 무시할 수 없는 존재입니다.
어떨 때는 이 둘의 존재에도 휘둘리는게 주식이라고하네요.
먼저, 기타법인은 기관투자자로 분류되지 않는 법인을 말합니다. 통상적으로는 제조업체들의 자사주 매입 등을 뜻한다고 하네요.
기타외국인은 금감원에서 외국인 투자 등록 아이디가 없는 외국인 투자자를 말한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기관 투자자별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혹시나,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서로 이웃 및 구독은 항상 환영합니다. :)
'재테크 > 재테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 (5) | 2019.05.09 |
---|---|
주식 투자참고 관련 용어 정리 (4) 외국인 투자자 기관 알아보기 (1) | 2019.05.08 |
주식 투자참고 관련 용어 정리 (2) 단기과열, 투자주의용어 알아보기 (3) | 2019.05.05 |
주식 투자참고 관련 용어 정리 (1) 정리매매란 뭘까? (2) | 2019.05.02 |
신용카드 혜택 축소될 수 있다는 데, 무슨 내용일까? (3) | 2019.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