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재테크 지식

한때 난리났었던 갭투자, 갭투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_BlankSpace 2019. 5. 19.

갭투자라는 말은 한때 엄청 들어보셨던 경제용어입니다.

 

요즘도 가능할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한때는 대출해서 집 한채를 더사는게 이득이라는 말이 돌 정도로 집값은 계속해서 상승했으니깐요.

 

때문에, 갭투자를 하는 사람들도 굉장히 많았다고 합니다.

 

어떠한, 갭투자 분은 천채이상을 갭투자로 가지고 계셨다고 하네요. 물론, 그 분은 최근에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서 엄청난 파산을..

 

하여튼, 어떠한 투자 또는 투기든 시기가 잘 맞는다면 돈을 버는 것이겠죠. 물론 그 시기를 아는 것이 어렵습니다만..

 

이러한 말을 꺼낸 이유는 이번 포스팅에는 갭투자에 대해서 정리하기 위해서 입니다.

 

엄청난 갭투자 열풍이 불었던 만큼, 갭투자가 무엇이길래 그러한 열풍이 불었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1. 갭투자란?

일단, 갭투자라는 용어를 알아야겠죠.

 

갭투자란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주택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액을 적은 집을 고릅니다. 이후에 전세 세입자를 구하고, 그 전세 세입자가 들어갈 주택을 매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세가율이 높을 수록 투자에 들어가는 자본이 줄어들겠죠? 집의 가격은 3억짜리인데, 전세가율이 85%정도이면, 2억5천5백만원 정도를 세입자에게 전세금으로 받기 때문에, 갭 투자가는 4천 5백만원 정도만 들이면 되는 거죠.

 

이러한 갭투자는 2010년대 초반에 많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2010년 초반에 전세가격이 폭등하면서 전세가율이 60~70%까지 치솟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렇듯, 전세가율이 폭락하니, 당연히 전세를 끼고 아파트를 매입하는 것을 대량으로 할 수 있다는 소식이 퍼졌겠죠. 이로 인해, 갭투자 방법으로 몇 백채에서 몇 년채까지 투자를 하는 사람도 나타난 것입니다.

 

또한, 갭투자는 일정부분 대출규제 완화로 인해서 더욱 각광받았다고 하네요. 2013년 말부터 조짐이 시작됐고, 2015년부터 본격화되어 전국 각지의 미분양이 급감한 후에 조금씩 높은 전세가율로 다시 공급물량이 나오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조금씩, 갭투자가들이 물량을 푼 것이죠.

 

이러한 갭투자가들은 집값의 상승으로 인해서 엄청난 차익을 벌어들였습니다. 불과 최근까지만 해도 말이죠. 최근 3년 간 수도권의 아파트 값으 10%, 전세 값은 18% 상승했으니, 갭투자가 성행할 수 밖에없는 조건이었다고 하네요.

 

2. 갭투자의 리스크는?

이러한 갭투자로 인해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나니, 너도나도 갭투자를 따라하는 사람들이 증가했습니다. 사실, 평소 부동산에 관심을 가졌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따라하지 않았을까 하는 정도의 매력을 가질만한 투자였죠.

 

때문에, 갭투자는 더욱 과열되었고, 부동산도 투기장으로 변화합니다. 그로 인하여, 부동산을 필요로하는 사람들은 더욱 비싸게 매매해야 하는 문제도 발생합니다. 결국 수도권 집값은 천정부지로 뛰게되는데..

 

결국, 정부에서 개입하게 됩니다. 국토부에서는 8.2와 9.5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였고, 이로 인하여 부동산 시장은 어느정도 가라앉게 되었습니다. 사실, 매매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강력한 정책이 나온 만금, 당장 부동산이 필요하지 않다면, 굳이 살 필요를 못 느낀거죠.

 

하여튼, 9.5 부동산 대책은 투자 과열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이라서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 지정 및 다주택자 양도소득제 강화로 강력하게 대처하였습니다.

 

3. 현재 갭투자는 어떻게 되었을까?

이러한 정부의 강력한 대책으로 인해서 몇 백채에서 몇 천채를 굴리고 있던 갭투자들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한 기사에서는 어떠한 갭투자가 150채 정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정부의 정책으로 인하여 지방 도시를 중심으로 집 값이 하락하여 결국 파산합니다.

 

그럼, 갭투자한 사람만 파산나는 상황으로 끝날까요? 아쉽게도 아니었습니다.

 

이 갭투자의 집에 세입했던 사람들이 피해를 받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갭투자한 사람이 파산 신청을 하면, 세입자들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사례로는 집주인이 파산하거나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고 파산 신청을 할 경우에는, 세입자가 그 집을 매입하거나 경매를 진행하여 전세금을 회수해야 한다고 합니다.

 

결국 세입자들에게 모든 독박을 씌우는 겁니다. 때문에, 집을 매매하거나 세입자로 들어갈 경우에는 집 주인에 대해서 잘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갭투자에 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몇년 후에는 다시 갭투자가 활성화될 지는 모르겠지만, 현재로는 갭투자가 답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안전한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사실, 저는 돈이 없어서 ..ㅠㅠ)

 

서로 이웃 추가 및 구독은 항상 환영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