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끌벅쩍한 무역 전쟁에 대해서 다들 한번 씩은 뉴스를 보셨을 겁니다. 주식이나 펀드 또는 채권 등의 투자를 하시는 분이라면 몸으로 체감하실 것이고요.
점점 심화되는 무역 전쟁 중, 미국이 먼저 중국에게 직접적인 타격을 가합니다. 바로, 화웨이 제재입니다. 이로 인하여, 화웨이 제품 뿐만 아니라, 화웨이 제품을 이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 기술 또는 제품도 미국으로 수출이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기업을 직접적으로 제재한다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엄청난 압박이라고 생각이 들 정도네요.
혹시나, 관련 내용을 모르신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미중 무역 전쟁, 트럼프 중국 화웨이 제재로 인한 여파는?
이로 인해, 중국도 가만히 있지 않고, 바로 역공을 합니다. 그것은 바로 희토류입니다. 중국은 희토류를 수출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화웨이 제재에 대해서 대응합니다. 이로 인해서, 증시는 한번 더 출렁이게 됩니다.
그럼, 희토류가 무엇이고, 얼마나 중요한 것이길래 중국에서는 이것을 대응책으로 내세우게 된 것일까요?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희토류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희토류란? |
희토류란 간단히 말하자면 화학 원소 중 하나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원자번호 57번 란타넘(La)부터 71번 루테튬(Lu)까지의 란타넘족과 21번 스칸듐(Sc), 39번 이트륨(Y)까지의 17종류 원소의 총칭을 말한다고 하네요. (위키 참조)
희토류 원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키백과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왜 희토류라고 불릴까요? 희토류라고 불리는 이유는 '희귀한 흙' 또는 '드문 흙' 이므로, 희토류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합니다.
희토류를 개발하거나 수출하기 위해 국가산업으로 삼기 위해서는 오히려 후진국이어야 한다는 점이 필수조건이라고 하빈다. 그 이유는, 희토류를 채굴하고 가공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환경오염과 인체에 악영향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저렴한 인건비와 노예와 같은 인력이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적인 희토류 생산국은 미국이나 유럽과 같은 선진국이 아닌 브라질과 중국 등이라고 합니다.
2. 희토류가 무역 전쟁에 있어서 강력한 무기인 것인가? |
사실, 이것이 중요합니다. "환경 오염도 심하고, 인체에 해로운 흙 따위가 중요한 것일까?" 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러한 희토류는 어디에 사용하는 것일까요?
인터넷에서 희토류가 사용되는 용도를 원소별로 정리한 표가 있어서 아래 넣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원소 이름 | 원소 번호 | 원소 사용 용도 |
스칸듐(Sc) | 21 | 크리스탈 제조, 레이저, 세라믹 |
이트륨(Y) | 39 | 형광체 원료, 인조 보석 |
란타늄(La) | 57 | 영구자석, 형광체 원료, 촉매제 원료, 자동차 배터리 |
세륨(Ce) | 58 | 자동차 배터리, 광학 렌즈, 촉매제 원료 |
프로세오디뮴(Pr) | 59 | 영구자석, 비행기 부품 |
네오디뮴(Nd) | 60 | 영구자석, 전기 자동차 |
프로메튬(Pm) | 61 | 휴대용 X-Ray 부품 |
사마륨(Sm) | 62 | 영구자석, 유리 |
유로퓸(Eu) | 63 | 형광체원료 (LCD, TV) |
가톨리뮴(Gd) | 64 | 원자로제어제, 광자기기록, 자기냉동 |
테르븀(Tb) | 65 | 형광체원료 |
디스프로슘(Dy) | 66 | 영구자석, 하이브리드 자동차 |
홀뮴(Ho) | 67 | 레이저 |
에르븀(Er) | 68 | 디지털 카메라, 광신호 증폭기, 광섬유 |
톨륨(Tm) | 69 | 레이저 |
이테르븀(Yb) | 70 | 레이저, 스테인리스 |
루테튬(Lu) | 71 | 크리스탈 제조, 레이저 |
사용 용도는 위의 표 외에 더 많은 곳에 사용하고 있을 것입니다. 이렇듯, 희토류는 각 원소 별로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엄청나게 사용해야할 광물이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일 것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희토류를 중국이 전세계에서 43%의 매장량을 가지고 있고, 전세계의 생산량의 95%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중국이 미국에 희토류를 수출 하지 않겠다고 한다면, 첨단 산업의 메카인 미국에는 엄청난 문제가 발생할 것입니다.
물론, 미국이 다른 나라에서 수입을 하면 되지 않겠냐라는 반문이 있을 수 있겠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중국에서 대부분 생산하기 때문에 영향이 없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뉴스 기사에서는 미국이 희토류 수요량의 3분의 2 정도는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고 하네요. 그야말로, 중국이 미국에 한방 먹인 것이죠.
3. 글을 마치며.. |
결국, 무역 전쟁이 더욱 심화된 것 같습니다. G20 정상회의에서 어느 정도 무역 전쟁이 해소될 것으로 생각했었는 데, 서로 하나씩 제재하는 것을 보면 무역 전쟁이 더욱 길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므로, 어느 나라가 먼저 양보하느냐가 중요하게 된 것 같습니다. 사실, 어느 나라가 먼저 양보를 할 지는... 마치, 예전에 소련과 미국의 냉전을 다시 보는 것 같습니다.
하여튼, 하루 빨리 무역 전쟁이 해결되었으면 좋겠네요. 최근, 우리나라 경제도 좋지 않다는 기사 및 수치도 나오고 있는 데, 무역 전쟁이 지속된다면 더욱 심화될 것은 분명하니깐요.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혹시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서로 이웃 추가 및 구독은 항상 환영합니다. :)
'재테크 > 재테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솟는 환율, 은행별 외화예금 혜택은 어떤게 있을까? (0) | 2019.05.25 |
---|---|
무소득도 지원 가능한 청년 주택금융, 그 내용을 알아보자 (0) | 2019.05.23 |
미중 무역 전쟁, 트럼프 중국 화웨이 제재로 인한 여파는? (1) | 2019.05.20 |
매일 이자를 주는 금융 상품, CMA를 알아보자. (1) | 2019.05.20 |
한때 난리났었던 갭투자, 갭투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2) | 2019.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