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한번도 접하지 않거나, 별 관심 없이 주식을 하는 사람 또는 경제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선물"이라는 용어를 듣는다면 다른 사람에게 마음을 표현하는 선물로 생각할 것입니다.
금융시장에서는 선물이라는 용어를 파생상품 중 하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자로는 先物로, 먼저 '선' 에 물건 '물'자를 사용한 것입니다. 말 그대로 미래의 물건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선물은 앞선 포스팅 중 하나인 옵션과 함께 파생금융상품중 하나입니다. 옵션에 대해서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더구나, 요즘 개인 방송을 보면 선물 시장이 핫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주식과 다르게 조그마한 등락폭이라도 수익 또는 손실이 크고, 주식 시장과는 다르게 매수 또는 매도 포지션 둘다 개인 사용자가 잡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선물 시장이 좋으면 다음날 주식 시장도 영향을 받는 것을 보면서, 선물이란 정확히 무엇일까 궁금하여, 관련 내용을 읽어보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1. 선물이란? |
선물이란 가치가 통화, 채권, 주식 등과 같은 기초금융 자산의 가치변동에 의해서 결정되는 금융상품인 파생 금융 상품 중 하나입니다. 분류에 따라서는 선도계약, 선물, 옵션, 스왑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선물거래는 위에서 한자로 설명한 것처럼, 미래 특정시점에 특정가격으로 사고 파는 계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현재의 가격과는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A는 재화를 소유한 판매자이고, B는 현금을 보유한 소비자 입니다. A는 1년 후에 자신의 재화 가격이 지금보다 더 올라갈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B는 1년 후에 재화가격이 현재보다 떨어질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A와 B는 지금 바로 현물거래를 하지 않고, 1년 후의 선물거래 계약을 체결합니다. 이때의 A와 B는 1년 후의 재화의 가격을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1년이 지났습니다. 가격은 변동될 것일텐데, 그 변동에 따라서 A 또는 B 둘 중 하나는 손해를 보면서 거래가 성사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선물거래가 이루어지려면 아래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하네요.
- 현재의 현물거래가격 : 현재 가격을 중심으로 미래가격을 예측.
- 불확싱설 : 미래의 가격은 매입자 매매자 둘 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음.
- 거래체결시 거래 의무화 : 선물계약을 체결했는 데, 나중에 가서 계약 무효라고 말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무조건 계약이 체결되어야 합니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코스피 200선물지수를 1996년 5월에 개설되었고, 코스닥 50선물지수를 2001년 1월에 개설하였다고 합니다. 이후에 코스닥 50선물지수는 스타지수 선물시장으로, 또한 이후에는 코스닥 150선물시장으로 바뀌었다고 하네요.
2. 나라별 선물시장 |
주요국 별로 주식 선물시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국가 | 대상지수 | 거래소 |
한국 | 코스피 200 | 한국거래소 |
미국 | S&P 500 | 시카고 상업거래소(CME) |
영국 | FTSE 100 | ICE Futures Europe |
일본 | 닛케이 225 | 오사카 거래소 |
프랑스 | CAC40 | Euronext-Paris |
독일 | DAX30 | Eurex |
위의 선물 시장 내용을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주식시장 시세와 금융뉴스 - Investing.com
Investing.com은 무료 실시간 시세, 포트폴리오, 챠트, 최신 금융 뉴스, 주식시장 데이터 및 기타를 제공.
kr.investing.com
위의 링크를 들어가보시면 세계 증시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지수 뿐만 아니라 원자재, 외환, 암호화폐 시세도 확인할 수 있으니 주식을 하시는 분이라면 꼭 참고해볼만한 사이트라고 생각합니다.
3. 옵션과의 차이점 |
그럼 다른 파생 시장 중 하나인 옵션과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옵션은 콜이나 풋 중 매수한 쪽이 일방적으로 취소가 가능 합니다. 하지만 선물에 경우에는 자기 마음대로 계약을 취소할 수 없습니다.
또한, 옵션의 수익 구조는 매수자와 매도자가 비대칭적이며 매수자의 손실폭은 프리미엄으로 제한되고, 매도자의 손실폭은 이론적으로는 무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대로도 가능하구요.
선물의 경우에는 옵션과 달리, 손실 수익이 정확합니다. 따라서 제로섬 게임과 같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4. 선물 가격과 보유비용모형 |
선물은 아래 공식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고 하네요.
선물(F) = 현물(S) + (현물가격(S) * (이자율(r) - 배당률(d)) * t(잔존기간)/365
이상으로 선물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추가적으로 선물에 관하여 말하자면.. 정말 경제 또는 트레이딩에 빠삭한 사람이 아니면 선물은 건드리면 안될 것으로 생각이 들었습니다. 혹시라도 선물에 대해서 하려고 마음 먹으신 분이라면, 직접 하시는 분들을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https://namu.wiki/w/%EC%84%A0%EB%AC%BC(%EA%B8%88%EC%9C%B5)
https://namu.wiki/w/%EC%84%A0%EB%AC%BC%EC%8B%9C%EC%9E%A5
서로 이웃 추가는 항상 환영합니다. :)
'재테크 > 재테크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참고 관련 용어 정리 (1) 정리매매란 뭘까? (2) | 2019.05.02 |
---|---|
신용카드 혜택 축소될 수 있다는 데, 무슨 내용일까? (3) | 2019.05.01 |
[파생상품] 옵션은 무엇일까 (2) | 2019.04.28 |
급여(월급) 명세서 지급내역 읽는 방법 정리 (5) | 2019.04.27 |
나는 근로장려금 대상일까? (1) | 2019.04.27 |
댓글